본문 바로가기

발견 discovery

신문사 성향

노출 순서는 신문사명 ㄱㄴㄷ순

신빙성 없습니다. 재미로 보는 정보입니다. 가져온 정보인데, 어디서 가져왔는 지를 까먹었네요. ㅠㅠ 혹, 틀린 정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경향신문 (종합신문)

성향 - 좌 or 중도, 진보 - 보수, 진보를 통틀어 가장 중립적인 신문 / 일부 좌파라고 하나, 여&야의 목소리를 골고루 담고 있음 / 감싸기식 보도 없음

창간일 - 1946. 10. 06.

설립자 - 양기섭 (신부)

특징 - 창간 당시 기독교적 색채 있었으나 분리 후 중립 / 기사, 논설 독자들로부터 호평 / 이승만 정권에 의해 폐간 / 박정희 정권에 의해 강탈 후 독립

지배구조 - 국내 첫 '사원주 신문' / 사원 (기자)가 96%의 지분을 나누어 갖고 있음 / 특정 기업, 특정 세력 지배 불허





국민일보 (종합신문)

성향 - 우, 보수, 기독교 색채

창간일 - 1988. 12. 10.

설립자 - 여의도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

특징 - 일반 시사뿐만 아니라 종교계 소식도 담고 있음 / 종교단체에 의해 창간된 신문인만큼, 보수의 색을 띠는 경향이 많음 / 기자들은 진보 성향을 가진 사람이 많으나, 편집국에서 보수 성향을 띄어 한 때 파업 (기독교 재단과 목사들은 보통 보수임)

지배구조 - 교회 재단에서 독립되었다고는 하지만, 조민제가 회장으로 있어 실질적 지배는 여전히 조용기 목사인 것으로 추측





내일신문

성향 - 중도, 진보

창간일 - 1993. 10. 09.

설립자 - 장명국

특징 - 회사 주식의 60%를 사원이 소유하고 있는 '사원주주회사' / 모토="진보와 보수를 넘어 내 일을 하며, 내일을 지향한다" / 사원주주회사를 통한 경영, 소유, 노동의 통일, 생활인의 입장에서 정론만 생각하는 신문, 지역과 중앙, 남성과 여성의 통일 등을 지향 / 현 사장인 장명국 씨는 전 민주당 '최영희' 의원의 남편이나, 관계없이 중도의 입장을 지키고 있음

지배구조 - 사원주주회사 / 특정 기업, 특정 세력 지배 불허





동아일보 (종합신문)

성향 - 극우, 보수 (친박)

창간일 - 1920. 04. 01.

설립자 - 송진우, 김성수, 유근

특징 - 일제강점기 당시 - 브나로드운동, 물산장려운동, 연정회, 신간회운동 등을 지원했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친일 논조 / 해방 후 반독재, 민주언론으로 자리매김했으나 유신정권에 반발 -> 정부 권력에 의해 두 차례 기자 대량해고 후 보수적인 색채를 띔

지배구조 - 김성수 일가 (족벌신문), 고려대학교 재단





문화일보 (종합신문)

성향 - 극우 or 우, 보수 - 한 때 조중동문으로 제2의 조중동으로 불렸음

창간일 - 1991. 11. 01.

설립자 - 이규행, 현대그룹

특징 -국내 최초로 오피니언을 만들어 국내 유수의 필진을 고용해 다양한 시가 제공 / 현재는 친 보수에 가까움

지배구조 - 현대그룹 일가 (족벌신문)





서울신문

성향 - 중도

창간일 - 1904. 07. 18.

설립자 - 베델, 양기탁

특징 - 국내 유일의 정부 출자 신문 / 창간 당시 항일논조, 항일투쟁 / 한일합방 이후 일본에 매입되어 조선총독부의 기관지로 전락 (친일미화, 통치 합리화) / 이승만 정권을 적극 지지, 박정희, 전두환 시절 정부운영 관영지로 정부 찬양 기사 / 지금은 민영화되어 정부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보통은 사실 위주의 보도를 하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조금씩은 달라짐)

지배구조 - 정부 우호지분 (기획재정부 + 포스코 + KBS) 61% + 자사주 (우리사주조합) 39%





오마이뉴스 (인터넷신문)

성향 - 극좌 or 좌, 진보 - 진보신문 중 강도 상위

창간일 - 2000. 02. 22.

설립자 - 오연호

특징 - '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모토로 창간 / 독자로부터 직접 기사를 받는 시민 기자 체제 / 시민의 정치 참여 장을 확대하고 여론의 기능성 확대 / 보통은 오마이뉴스 측에서 기사를 검증 후 업로드하지만 철저한 검증을 놓칠 경우, 잘못된 기사 가능성 제기

지배구조 - 시민이 누구나 기사를 업로드할 수 있음. 지배구조의 생성 자체가 불가능





조선일보 (종합신문)

성향 - 극우, 보수 - 보수신문 중 강도 최상위 (한국기자협회 언론인 대상 여론조사: 신뢰도 6위, 영향력 1위)

창간일 - 1920. 03. 05.

설립자 - 조진태 (친일인명사전, 친일반민족행위 명단 수록된 분. 일제강점기 경제계의 3대 거상 중 한 명)

특징 - 대정친목회 (친일단체)를 모체로 만들어짐 / 일본 천황부부의 사진을 전면에 내걸고 충성을 맹세 등 친일논쟁 비판 쟁쟁 / 반면 문자보급운동, 문맹퇴치운동 등으로 항일운동의 흔적이 있다고 주장

지배구조 - 방씨 일가 (족벌신문)





중앙일보 (종합신문)

성향 - 친기업, 보수

창간일 - 1965. 09. 22.

설립자 - 이병철 (삼성그룹 총수)

특징 - 삼성과 위장 계열 분리 주장 / 삼성 관련 비리 축소보도 의혹 / 친일인명사전 만드는 것 반대 / 족벌신문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부인 중

지배구조 - 삼성그룹 일가 (족벌신문)





프레시안 (인터넷신문)

성향 - 극좌, 진보 - 인터넷 신문사 중 강도 최상위 / 정치면에서 대립되는 인사들에 대한 비판 수위가 높기 때문 (오마이뉴스에 비해 전문성을 띄는 편)

창간일 - 2001. 09. 24.

설립자 - 기존 언론계의 중견기자들 + 국내외 전문가 + 현장활동가 100여 명 등

특징 - Press + Internet Alternative News를 합친 것으로 대안 언론을 만드는 신문쟁이들이라는 뜻 / 진보적 정론지 표방 / 정치기사가 강하며 내부 기자에 의한 기사보다 외부 필진 (명망가)와 투고에 의한 기사 비율이 더 높음 / 자신의 성향과 맞지 않는 인사를 과도하게 비판하는 경향이 있음 / 전문가, 전문기자들 중심의 네트워크 형성 -> 기사의 전문성이 높음

지배구조 -





한겨레 (종합신문)

성향 - 극좌, 진보 - 진보신문 중 강도 최상위 (한국기자협회 언론인 대상 여론조사: 신뢰도 1위, 영향력 6위)

창간일 - 1988. 05. 15.

설립자 - 송건호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해직 언론기자들을 중심으로, 전 국민 대상 주식을 공모해 모금된 자본금으로 창간)

특징 - 세계 언론 사상 유일한 '국민주신문' / 종합일간지 최초 한글전용 가로쓰기 도입 / 특정 자본으로부터 독립 위해 국민의 자본금으로 경영 / 대표 진보 언론인만큼 북한에 대한 태도에서 논란이 있음

지배구조 - 국민주 신문 / 특정 기업, 특정 자본의 지배 불허





한국일보

성향 - 중도, 보수

창간일 - 1954. 06. 09.

설립자 - 장기영

특징 - 초창기 상업주의 성향이 짙었음 / 성향이 보수 쪽에 약간 가까우나 진보, 보수의 독자들 모두가 한국일보를 중도라 부름

지배구조 - 장씨 일가 (족벌신문)





기타


뉴데일리, 데일리안, 독립신문, 한국논단: 조중동을 능가하는 극우. 기존 보수지보다 비판의 강도가 높음 (일부에선 보수의 지능형 안티라고... )


뉴스라이브, 데일리NK, 브레이크뉴스, 빅뉴스, 아시아투데이, 천지일보, 코나스, 쿠키뉴스 (국민일보), cnb뉴스: 보수


연합뉴스: 국영통신사로 정부에 따라 성향 달라짐


YTN: 원래 진보에 가까웠음. MBC와 함께 뉴스의 양대산맥이었으나 MB덕분에 보수가 됨. 바른 소리 하던 사장, PD, 기자 모두 해직당함


노컷뉴스 (CBS), 딴지일보, 레디앙, 머니투데이, 미디어스, 미디어오늘, 민중의 소리, 시사in, 이데일리: 진보는 저마다 제 목소리를 내는 편이라 극좌라기보다는 그냥 같은 진보에 가까움


뉴스1: 머니투데이에서 만든 통신사로서 진보에 해당


경제투데이, 아이비타임즈 코리아, JP뉴스: 중도


뉴시스: 민간이 운영하는 규모 있는 통신사로서 정치성향 중도





경제지


한국경제: 친대기업, 보수, 성장에 취중. 우파에 가까움. 경제지 1위 / 현대, SK, 삼성, LG 등을 사주로 두고 있어 친 대기업의 성향이 뚜렷함. 현재 경제민주화와 상반되는 '신자유주의'를 표방하는 경제지


매일경제: 경제 신문지, 정치면에서는 우파 or 중도우파에 가까움. 경제지 2위 / 자유시장경제 옹호


서울경제: 한국경제, 매일경제보다 상대적으로 전문성은 떨어지지만, 서민경제, 생활경제에서 알찬 내용이 많음


헤럴드경제: 경제전문 신문은 아님 (보통 일간신문에서 경제면의 비중이 높은 수준), 타 경제지에 비해 쉽게 쓰여 있음. 새누리당 의원이 사주로 있음


아시아경제, 이투데이: 보수


머니투데이, 이데일리: 진보


파이낸셜뉴스: 중도











손정보 손링크 손어플 - 새로운 블로그, 오늘은












최근삼개월 오늘은인기Twenty - 베스트


최근영개월 오늘은추천Twenty - 추천추천


최근영개월 오늘은주요Forty - 다좋아하지만 그중에서좀더좋아하는











오늘은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블로그 (http://www.s740abcdefg.com/)는, PC에서 더 많은 기능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감사합니다.